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조건 및 소득·재산 기준 총정리
기초생활수급자 제도는 생활이 어려운 국민에게 최저 생활을 보장하고 자립을 지원하는 국가 복지제도입니다. 2025년에는 이 제도가 일부 개편되어, 신청 조건과 기준이 변경되었습니다.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여 혜택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 기초생활수급자 제도란?
기초생활수급자 제도는 국가가 생계, 의료, 주거, 교육 등의 기본적인 생활을 지원하는 복지제도로,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라 운영됩니다. 주요 급여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생계급여: 최저생계비 이하의 소득을 가진 가구에 현금 지원
- 의료급여: 의료비 부담이 큰 가구에 진료비 지원
- 주거급여: 주거비 부담이 큰 가구에 임대료 또는 수선비 지원
- 교육급여: 교육비 부담이 큰 가구의 학생에게 학용품비 등 지원
✅ 2025년 기준 중위소득 및 급여별 선정기준
수급자 선정의 핵심은 '기준 중위소득 대비 소득인정액'입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과 급여별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인 | 2,392,013원 | 765,444원 | 956,805원 | 1,148,166원 | 1,196,007원 |
2인 | 3,932,658원 | 1,258,451원 | 1,573,063원 | 1,887,676원 | 1,966,329원 |
3인 | 5,025,353원 | 1,608,113원 | 2,010,141원 | 2,412,169원 | 2,512,677원 |
4인 | 6,097,773원 | 1,951,287원 | 2,439,109원 | 2,926,931원 | 3,048,887원 |
5인 | 7,108,192원 | 2,274,621원 | 2,843,277원 | 3,411,932원 | 3,554,096원 |
6인 | 8,064,805원 | 2,580,738원 | 3,225,922원 | 3,871,106원 | 4,032,403원 |
각 급여별 선정기준은 기준 중위소득의 일정 비율로 결정되며,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해당 기준 이하일 경우 해당 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관련 자료 바로가기
✅ 소득인정액 산정 방식
기초생활수급자 선정 시 가장 중요한 기준이 바로 소득인정액입니다. 이는 단순한 월소득 합계가 아닌, 다음 두 가지를 합산하여 계산합니다.
- 실제 소득(근로소득, 사업소득, 연금, 이자소득 등)
- 재산의 소득환산액: 집, 차량, 금융자산 등 재산을 환산해 월 소득처럼 계산
예를 들어 차량이나 예금이 일정 기준 이상일 경우 수급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사전에 확인해야 합니다.
✅ 재산 기준은 어떻게 되나?
지역별로 재산 기준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서울과 지방의 재산 인정 한도는 차이가 있으며, 2025년 기준 대략적인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대도시 (서울, 수도권 등): 1억 1,800만 원 이하
- 중소도시: 8,800만 원 이하
- 농어촌 지역: 7,300만 원 이하
재산이 이 기준을 넘을 경우 급여 지급이 제한되며, 일부 지역은 공시지가와 주거용 면적 등에 따라 조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부양의무자 기준은 폐지되었나?
2021년 이후 단계적으로 폐지된 부양의무자 기준은 대부분의 급여 항목에서 적용되지 않습니다. 단, 다음의 경우에는 여전히 적용될 수 있습니다.
- 고소득 부양의무자가 존재할 경우
- 부양의무자와 실제로 동거하며 소득이 높은 경우
일반적인 생계급여, 의료급여 신청 시에는 부양의무자 기준이 사라졌기 때문에, 보다 쉽게 신청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신청 방법은?
거주지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를 통해 수시 신청 가능하며, 신청 후 소득·재산 조사 및 선정 절차를 거쳐 지원 여부가 결정됩니다. 신청 시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신분증
- 가구원의 소득 및 재산 관련 증빙서류
- 주택 임대차 계약서 (임차 가구일 경우)
선정까지는 평균 30일~60일 정도 소요되며, 결과는 문자 또는 서면 통보로 확인 가능합니다.
🔷 참고 링크
✅ 실제 수급자 사례로 보는 조건 적용
사례 1. 1인 가구, 월세 거주, 근로소득 80만 원
서울에 거주하는 65세 여성 A씨는 월세 30만 원의 임대주택에 혼자 살고 있으며, 마트에서 파트타임으로 일하며 월 80만 원의 소득을 올리고 있습니다. 재산은 200만 원 수준의 예금이 전부입니다.
→ 소득인정액은 실제 소득인 80만 원 + 금융자산 환산액(약 1만 원)
총 소득인정액 약 81만 원으로, 1인 기준 생계급여 선정기준(약 76만 원)을 초과하여 생계급여는 불가하지만, 주거급여 및 교육급여(손주가 있는 경우) 등은 지급 가능.
사례 2. 4인 가구, 무주택, 자동차 1대(경차), 아이 둘
부부와 자녀 둘로 구성된 4인 가족. 소득은 월 250만 원(남편 180만 원, 아내 70만 원), 재산은 예금 300만 원, 차량 경차 1대 보유. 전세금은 7,000만 원.
→ 소득인정액은 실제소득 250만 원 + 전세보증금 환산액 약 24만 원 + 예금 환산액 약 2만 원
총 276만 원 수준으로, 4인 기준 생계급여(약 195만 원)는 초과하지만 주거급여(약 293만 원)와 교육급여(304만 원)는 신청 가능.
✅ 자주 묻는 질문 (FAQ)
Q. 자동차가 있으면 수급 신청이 안 되나요?
A. 자동차 보유는 제한 요소이지만, 경차나 생계용 차량 등은 인정 범위 내에 있으며, 2025년 기준 차량가액 1,500만 원 이하, 배기량 1,600cc 이하일 경우 대부분 문제없이 인정됩니다.
Q. 전세금이 있으면 무조건 탈락인가요?
A. 아닙니다. 전세금은 일정 기준 이하일 경우 소득환산으로 적용되며, 기준 중위소득 대비 총 소득인정액이 기준 이하라면 수급이 가능합니다.
Q. 부모와 떨어져 사는 성인 자녀가 고소득자일 경우 영향이 있나요?
A. 원칙적으로 부양의무자 기준이 폐지되었기 때문에 영향은 없지만, 자녀가 실질적으로 부양 중인 경우에는 일부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 고액의 송금을 지속적으로 할 경우 등.
Q. 수급자로 선정되면 어떤 지원이 있나요?
A. 생계급여 외에도 각종 공공요금 감면, 건강보험료 감면, 각종 바우처(문화누리카드 등), 취업 연계 프로그램 등 다양한 혜택이 부여됩니다.
✅ 마무리 정리
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조건은 이전보다 간소화되었으며, 중위소득 및 재산기준이 명확하게 설정되었습니다. 정부는 저소득층의 자립을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자가진단을 통해 간단히 신청 가능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생계가 어려운 분들은 복지 사각지대에 머무르지 마시고, 꼭 필요한 혜택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 추가 참고 링크
📌관련 같이 보면 좋은 포스팅
[2025년 청년내일채움공제 총정리] 혜택, 조건, 신청 방법!
안녕하세요, 머니퀀텀점프입니다! 😊청년들이 안정적인 일자리에서 장기 근속하며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청년내일채움공제!“나도 신청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1,2
marketpulse1.tistory.com
2025 청년 주택 구입 지원 총정리! 대출, 지원금, 세금 감면 혜택까지 한눈에!
안녕하세요, 머니퀀텀점프 독자 여러분!오늘은 청년을 위한 주택 구입 지원 정책을 총정리해 드리겠습니다.내 집 마련을 꿈꾸는 청년들을 위해 정부가 제공하는 저금리 대출, 지원금, 세금 감면
marketpulse1.tistory.com
[2025년 청년 월세 지원 총정리] 신청 대상, 지원 금액, 신청 방법!
안녕하세요, 머니퀀텀점프입니다!청년들의 주거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에서는 2025년 청년 월세 지원을 운영합니다.“나도 신청할 수 있을까?”, “얼마까지 지원받을 수 있을까?” 궁금하
marketpulse1.tistory.com
'이것저것 정보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 영양제 추천 총정리: 루테인? 오메가3? 꼭 먹어야 할 이유 (6) | 2025.04.09 |
---|---|
직장인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근로자 휴가지원사업’ 신청 방법 (2) | 2025.04.08 |
2025년 소상공인 정책자금 대출 총정리: 자격조건부터 신청방법까지 완벽 가이드 (15) | 2025.04.05 |
2025년 청년창업사관학교 완벽 가이드: 지원 대상, 혜택, 신청 방법 총정리 (1) | 2025.04.05 |
2025년 신사업창업사관학교 완벽 가이드: 자격, 혜택, 신청 방법까지 총정리 (1)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