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 정보 - etc

“북한, 비트코인 1.6조 보유! 해킹으로 세계 3위… 개인 투자자는 안전할까?”

by 퀀텀브로 2025. 3. 18.
반응형

최근 북한의 해킹으로 인해 비트코인 보유량이 세계 3위에 달했다는 뉴스가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살펴보고, 일반인의 시각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분석해보겠습니다.

북한의 비트코인 보유 현황


최근 보도에 따르면, 북한은 해킹을 통해 약 1조 6,000억 원(약 11억 4,000만 달러) 상당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약 1만 3,562 BTC에 해당하며, 미국(19만 8,109 BTC)과 영국(6만 1,245 BTC)에 이어 세계 3위 규모입니다.  

해킹을 통한 가상자산 탈취


북한의 해킹 조직인 ’라자루스(Lazarus)’는 2007년 정찰총국 소속으로 창설된 이후, 지속적으로 가상자산 해킹을 통해 자금을 확보해왔습니다. 특히 올해 1월 21일에는 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중 하나인 바이비트(Bybit)를 해킹하여 약 2조 1,000억 원 상당의 코인을 탈취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중 상당수는 이더리움이었지만, 북한은 이를 비트코인으로 전환하여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탈취한 가상자산의 활용 의혹


일각에서는 북한이 해킹을 통해 탈취한 가상자산을 현금화하여 핵무기 개발 등 군사 자금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북한은 국제사회의 경제 제재로 인해 외화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가상자산 해킹은 중요한 자금 조달 수단이 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일반인의 시각에서 본 우려와 대응 방안


이러한 상황은 일반 투자자들에게 몇 가지 우려를 불러일으킵니다.
1. 가상자산 시장의 신뢰성 저하: 대규모 해킹 사건이 반복되면 가상자산 시장 전체의 신뢰도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이는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시장 변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2. 개인 자산의 안전성 문제: 거래소 해킹으로 인해 개인 투자자의 자산이 위험에 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보안성이 높은 거래소를 선택하고, 개인 지갑을 활용하는 등 자산 보호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야 합니다.
3. 국제사회의 대응 필요성: 북한과 같은 국가 주도의 해킹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사회의 공조와 규제 강화가 필요합니다. 이는 가상자산의 투명성과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결론


북한의 해킹을 통한 비트코인 보유 증가는 가상자산 시장의 새로운 위협 요소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일반 투자자들은 이러한 위험을 인지하고, 자산 보호를 위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또한 국제사회는 이러한 사이버 범죄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여 가상자산 시장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확보해야 할 것입니다.



참고 기사:
• 서울경제
• 비즈니스포스트
• 다음
• 디지털타임스

반응형
LIST